반응형
📌 자동이체를 등록하면 납부일을 놓칠 걱정이 없습니다. 2025년 주민세 납부기간과 자동이체 방법, 유의사항을 지금 확인하세요.
주민세 개요
주민세는 지방자치단체가 세대주, 사업소 보유자, 일정 급여총액 이상의 종업원을 둔 사업주에게 부과하는 지방세입니다. 2025년에도 개인분, 사업소분, 종업원분으로 나뉘며, 각 납부기간이 다릅니다.
2025년 납부기간
구분 | 납부기간 | 대상 |
---|---|---|
개인분 | 8/16 ~ 9/1 | 세대주 |
사업소분 | 8/1 ~ 8/31 | 사업장 보유 |
종업원분 | 매월 1~10일 | 급여총액 1.5억 원 초과 사업자 |
자동이체 등록 방법
- 위택스(PC/모바일) –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후 [자동이체 신청] 메뉴에서 주민세 항목 선택
- 서울시 ETAX – 서울 거주자 전용 사이트 또는 앱에서 자동납부 신청
- 은행 창구 – 고지서 지참 후 자동이체 신청서 작성
- 지자체 세무과 – 직접 방문하여 신청 가능
📌 신청 시 주민등록번호, 납세자 번호, 납부 계좌 정보가 필요하며, 계좌는 본인 명의여야 합니다.
자동이체 장점
- 납부일에 맞춰 자동으로 결제되어 가산세 발생 위험 감소
- 매년 반복되는 세금 납부 절차를 줄여 시간 절약
- 전자송달과 함께 신청 시 세액공제 혜택(250~800원) 적용
자동이체 주의사항
- 신청 후 첫 납부는 반영까지 1~2주 소요될 수 있음
- 계좌 잔액 부족 시 자동이체 실패 → 가산세 부과 가능
- 주소지 변경 시 기존 자동이체가 해지될 수 있어 재신청 필요
일반 납부방법
- 위택스, 서울시 ETAX, 인터넷지로를 통한 계좌이체·카드납부
- ARS 결제(지자체 번호 이용)
- 가상계좌 송금 및 은행 창구 납부
- 모바일 간편결제 앱(카카오페이, 토스 등)
마무리
2025년 주민세 납부기간에 맞춰 자동이체를 등록하면 납부 기한을 놓칠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. 첫 신청 이후에도 계좌 변경, 주소 이전 시 재신청을 잊지 마시고, 전자송달과 함께 이용하면 절세 혜택도 챙기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